분류 전체보기
-
급속여과발전용수처리 실무 2022. 3. 21. 13:38
1. 설치 목적 물리화학적 처리 후 처리수중에 남아있는 미세한 SS 성분을 제거하는데 목적이 있다. 침전조 상등수의 경우 가벼운 입자들은 처리수와 함께 유입되므로 그대로 방류할 경우 수질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에 여과사를 통과함으로서 제거된다. 공급수중에 함유된 탁질(Turbid matter) 및 미세한 콜로이드성 물질(Colloid matter) 등을 입상 여재 층에 통과시켜 제거하는 장치로서 사용되는 여재의 충진 방법에 따라Single-media filter와 Dual-media filter 그리고 Multi-media filter로 구분되며, 공급수의 가압 여부에 따라 완속여과방식(중력식)과 급속여과방식(압력식)으로 구분된다. 2. 여과이론 (Filtration Theory) 2.1 개요 폐수를 ..
-
역삼투막발전용수처리 실무 2022. 3. 21. 13:04
역삼투막은 일반적으로 막의 재질과 구조에 의해 분류되며, 실제로 적용시 재질이나 막의 구조에 따른 특성을 잘 고려해야 한다. 1. 막의 재질에 따른 분류 막의 재질로는 Cellulose Acetate(CA), Polyamide(PA), Polysulfonate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CA막과 PA막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1) CA(Cellulose Acetate)막 - 비대칭막(Asymetric Membrane) LOBE와 SOURIRAJAN에 의해 개발된 막으로써 두께가 100 ~ 200㎛인 반투성 막이다. 이 막은 두께가 0.25 ~ 1㎛의 조밀한 활성층(스킨층)과 수십㎛ 정도의 세공이 다수 존재하는 스폰지 형태의 지지층으로 구성되며 이 두 층이 같은 재질로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
-
이온교환수지발전용수처리 실무 2022. 3. 21. 13:01
1. 이온 교환 수지 1) 설명 이온교환작용을 나타내는 물질, 즉 이온교환체의 일종. 물에 불용성인 합성수지이며, 양이온교환수지·음이온교환수지·양쪽성이온교환수지[兩性(양성)ion交換樹脂(교환수지)] 등이 있다. 2) 이온교환 수지의 역사 이온교환 현상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으나, 화학적으로는 19세기 초 영국의 토양학자 H.S. 톰슨과 J. 웨이가 밝혀냈다. 어떤 종류의 토양에서 칼슘이온과 암모늄이온 사이에 양이온교환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아내고, 이 경우의 교환에는 당량관계가 있으며, 어떤 이온은 다른 이온보다 쉽게 교환된다는 선택성을 발견하였다. 처음에는 점토물질이 교환제로 사용되었으나, 1935년 B.A. 애덤스와 F.L. 홈스 등이 다가페놀(多價phenol)과 포름알데히드를 축합시킨 수지의 염류..
-
제타 전위발전용수처리 실무 2022. 3. 21. 12:19
제타 전위란? 액체중에 분산되어 있는 입자의 대부분은,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로 대전하고 있습니다. 전기적으로 중성을 유지하려고 하는 입자 표면의 액체중에는, 입자와 반대의 부호를 가지는 이온이 모여듭니다. 그러한 이온군이 입자 표면을 둘러싸고 구각 상태로 모였다고 칩니다. 하전을 가진 층을 반대 하전을 가진 층이 둘러싸게 됩니다. 이런 상태를 보면 '전기 이중층이 형성되었다'라고 표현을 합니다. 콘덴서에 전기가 축적된 상태는 이러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액체 속의 이온층은 이렇게 간단하지가 않습니다. 이온의 분포는 열운동으로 교란되어 있어요. 표면 근방에서는 반대하전의 농도가 높고 멀어짐에 따라 점차 낮아집니다. 입자와 같은 하전의 이온은, 반대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입자에서 ..
-
반데르발스 힘발전용수처리 실무 2022. 3. 21. 12:11
Van der Waals` force 기체, 액화 또는 승화된 기체, 그리고 대부분의 유기화합물의 액체와 고체 등에서 중성인 분자들을 서로 끌어당기는 상대적으로 약한 전기력을 말하며 이 힘은 1873년 이상 기체가 아닌 실제 기체들의 특성을 설명하는 이론을 개발할 때 이같은 분자간(分子間) 힘을 처음 으로 가정했던 네덜란드 물리학자 요하네스 반 데르 발스의 이름을 따서 반데르발스 힘이 라 부른다. 반데르발스 인력의 특징 반데르발스 힘으로 결합된 고체들은 보다 강한 이온결합·공유결합·금속 결합으로 이루어진 고체들보다 부드럽고 더 낮은 온도에서 녹는 다. 반데르발스 인력의 원인 3가지 근원에서 생길 수 있다. 첫째, 몇 가지 물질들의 분자들은 비록 전기적으로 중성이 라고 하더라도 영구 전기 쌍극자가 될 수 ..
-
응집침전3발전용수처리 실무 2022. 3. 20. 15:11
(2) 응결 (가) 응결의 원리 콜로이드의 표면전위가 저하되어 서로 접착되는 것을 응결이라고 부른다. 점토 용액에 황산알루미늄과 같은 전해질을 소량 가하면 황산알루미늄은 수중에서 알루미늄과 황산염의 이온으로 해리되어, 수중의 양이온 농도가 증가하므로 점토 입자의 전기이중층의 전위곡선은 변화한다. 이때 입자의 표면전위는 불변이므로 전위의 구배는 커진다. 다시 다량의 황산알루미늄을 가하면 표면전위는 0에 접근하여 등전점이 된다. 그러나 계속 가하면 전하의 역전이 일어나 정전하로 된다. 표면전위가 등전점 부근이 되면 동종의 대전입자 간에 반발력이 작아지고 반데르발스 흡인력의 영향이 커져 응집이 일어나며, 이를 임계 표면전위라 하며 자연수의 표면전위는 -14~03-mv 이며 색도입자와 같은 극미립자에서는 +-5..
-
응집침전2카테고리 없음 2022. 3. 20. 15:03
나. 콜로이드의 응집침전 (1) 콜로이드 응집기구 (가) 콜로이드의 전하 1) 콜로이드 입자의 수중 하전 원인 - 수중이온의 콜로이드 입자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흡착되는 경우 - 콜로이드 입자를 구성하는 물질이 이온화될 수 있는 기를 가질 경우 2) 콜로이드 입자가 -이온을 더 많이 흡착하는 이유 - -이온의 크기가 보다 작은 것이 많고 또한 콜로이드 격자상의 구조에 잘 맞아 콜로이드에 잘 붙게 괴며 특히 용액중의 OH-에 의한 것이 많다. - 다른 원인으로는 물과의 친화성에 기인한다. 많은 입자들은 이온과 결합하는 것 이외에 물과 결합하게 되는데 입자표면에 결합하는 물의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이온의 흡착은 적게 될 것이고, 이온 자체도 마찬가지로 작ㅇ뇽을 하므로 +이온보다 수화도가 낮은 -이온은 입자에 ..
-
응집침전발전용수처리 실무 2022. 3. 20. 14:45
1. 응집침전 원리 가. 콜로이드 (1) 정의 콜로이드란 하나의 매질 중에 다른 물질이 독립하여 분산하고 있는 2상류를 말한다. 물질의 콜로이드 성능은 그 물질의 화학적 본성에 의한 것이 아니고 입자의 미세도에 의한 것이다. 미세입자가 타종의 매질 중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가 곧 콜로이드 상태인 것이다. (2) 콜로이드 용액의 성질 (가) 틴들현상 콜로이드 용액에 광선을 통과시키면 콜로이드 입자가 빛을 산란시키므로 빛의 진로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나)브라운 운동 콜로이드 입자가 용매분자의 불균일한 충돌을 받아 불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을 브라운 운동이라 하며 한외현미경으로 볼 수 있다. (다) 투석 거름종이는 콜로이드 입자를 통과시커나 투석막은 통과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은 성질은 진용액에 혼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