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응집침전3
    발전용수처리 실무 2022. 3. 20. 15:11

    (2) 응결

    (가) 응결의 원리

    콜로이드의 표면전위가 저하되어 서로 접착되는 것을 응결이라고 부른다. 점토 용액에 황산알루미늄과 같은 전해질을 소량 가하면 황산알루미늄은 수중에서 알루미늄과 황산염의 이온으로 해리되어, 수중의 양이온 농도가 증가하므로 점토 입자의 전기이중층의 전위곡선은 변화한다. 이때 입자의 표면전위는 불변이므로 전위의 구배는 커진다. 다시 다량의 황산알루미늄을 가하면 표면전위는 0에 접근하여 등전점이 된다. 그러나 계속 가하면 전하의 역전이 일어나 정전하로 된다. 표면전위가 등전점 부근이 되면 동종의 대전입자 간에 반발력이 작아지고 반데르발스 흡인력의 영향이 커져 응집이 일어나며, 이를 임계 표면전위라 하며 자연수의 표면전위는 -14~03-mv 이며 색도입자와 같은 극미립자에서는 +-5mv가 임계 표면전위이다.

    (나) 응결제의 구비조건

    응결제는 현탁입자와 친화성이 크고, 현탁입자의 계면에 머물러서 그 전하를 중화하여 전하를 없애는 것이라야만 한다. 따라서 전하가 높은 응결제일수록 응결력은 커진다. 원자가가 같은 이온은 대체로 같은 하전의 중화력을 가지며 원자가가 증가함에 따라 중화력이 크게 증가한다.

    (다) 등결의 에너지 장벽

    콜로이드 입자끼리의 응결에 장해가 되는 에너지 장벽은 1. 입자 상혼간에 작용하는 전기적 반발력 2. 반데르발스 흡인력의 합성에 의해 생기는 입자 상호작용의 에너지 장벽이다. 이 에너지 장벽은 입자 간에 인력이 작용한는 곳까지 접근시키는데 필요한 활성화에너지이며 이를 저하시킴으로써 브라운 운동이나 교반에 의한 입자 충돌을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입자 상호간은 인력에 의해 접촉하게 된다. 즉, 에너지 장벽의 크기를 0까지 저하시키지 않으면 콜로이드의 응결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발전용수처리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타 전위  (0) 2022.03.21
    반데르발스 힘  (0) 2022.03.21
    응집침전  (0) 2022.03.20
    전처리 개요2  (0) 2022.03.20
    전처리 개요  (0) 2022.03.20

    댓글

Designed by Tistory.